티스토리 뷰



모니터는 단순하게 말하자면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 그 컴퓨터의 성능을 눈으로 직접 보여주는 화면 표시 장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성능의 PC 시스템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그 성능을 화면으로 다 표현하지 못한다면 그 PC는 무용지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그래서 많은 유저들은 PC 못지않게 모니터에도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떤 모니터에 얼마나 투자를 해야 하는지 판단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유저들이 다반 수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니터의 성능과 가격 폭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싸게는 2~30만원 때부터 비싸게는 2~300만원을 호가하는 모니터까지  그 종류와 가격이 다양합니다.

과연 우리는 어떤 모니터를 구입해야 후회 없이 가지고 있는 PC의 성능을 다 발휘하며 사용할 수 있을까요?

그러면 모니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하게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사무용을 제외한 영화를 보거나 또는 PS4나 XBOX를 사용하여 게임하는 유저들은 크고 해상도 높은 모니터를 선호합니다. 

영화를 본다든가 멀리서 게임을 할 땐 아무래도 큰 화면이 보기 좋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모니터에 근접하여 게임하는 PC 유저들은 주사율이 높고 한눈에 들어오는 모니터가 더 좋다고들 합니다.

요즘은 27인치 정도의 144Hz의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PC용으로 너무 큰 인치 수만 고집하는 건, 눈의 피로나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상도의 차이는 크게 UHD(3840 X 2160), QHD(2560 X 1440), FHD(1920 X 1080)로 볼 수 있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고해상도이며 화질도 좋아집니다.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점은 고해상도라 하더라도, 화면의 인치수가 크면 픽셀의 크기도 같이 커지므로 작은 인치 수의 저해상도가 화질이 더 좋아 보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모니터의 티어링을 잡아주는 기술로 nVIDIA의 지싱크와 AMD의 프리싱크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티어링이라함은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화면의 찢어짐을 말하는데 nVIDIA의 지싱크와 AMD의 프리싱크가 그걸 막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HDR이라고 하는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밝은 곳은 더 밝게 광원을 보강해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사율이 있는데 60Hz부터 요즘은 240Hz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주사율이라 함은 초당 몇 장의 그림을 보여 주느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많은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 더 좋은 겁니다.

그렇다고 이 모든 기능이 쓰고자 하는 모니터에 무조건 다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선택하고 그 선택에 따라 적당한 가격대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모니터의 기능이나 궁금하신 점은 필자에게 문의하시거나 인터넷에 찾아보시면 쉽게 알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저 또한 영화나 PS4, PC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로서 한가지 모니터에서 모두를 만족시켰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모니터에서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적당한 가격대의 모니터는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알아볼 제품은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조금씩 타협하여 영화와 PS4, PC 세가지 용도로 쓰기 적당한 크기와 해상도 그리고 주사율을 가진 QHD급 75Hz 32인치인 알파스캔 AOC 3279 QHD 프리싱크 NTSC88 무결점 모니터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제품 사양

제품 포장과 구성

포장된 박스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방지를 위한 듯, 한 40인치 정도의 제품으로 착각할 수 있을 만큼 큼지막합니다. 

 

박스를 열면 박스 안쪽에 간단 설치 설명이 프린트되어 있습니다


살짝 열어보니 내용물이 보이고 스티로폼으로 모니터를 감 쌓아 보호하고 있습니다.


과감히 꺼내보니 각종 케이블과 모니터 받침대로 보이는 물건이 있네요.


구성품으로는 모니터 받침대, HDMI 케이블, DP 케이블, 전원 케이블, 설치 CD, 간단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포트 케이블.


HDMI 포트 케이블.


전원 케이블.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 설치 CD.


앞, 간단 설치와 설정 설명서.


뒤, 설정과 소프트웨어 사용 설명서.


스티로폼을 열어보니 시스루로 비춰 보이듯 살며시 모니터의 뒤태가 보입니다


뒤집어서 모니터 앞면을 보니 취급주의하라고 영어, 한글, 일어, 중국어, 정도로 쓰여 있네요.

제품 외형

패널은 IPS 광시야각으로 논 글레어 타입이며 3H 하드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정면 가운데에 은색의 AOC 마크와 스크래치 방지 비닐 테이핑이 되어 있네요


본체 하단에 제품 제조자 스티커와 쿨링 홀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본체 오른쪽 하단 차례로 입력신호/취소 버튼, 게임 모드/좌측 이동 버튼, 볼륨 조정/우측 이동 버튼, OSD 메뉴선택 버튼, 전원 버튼 등 5개의 버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받침대의 스크래치 보호 필름을 과감하게 떼어냅니다.


역시 여기저기 붙어 있는 모든 스크래치 보호필름을 다 떼어냅니다.


뒤쪽의 스크래치 보호필름도 다 떼냅니다.

보호 필름을 안 떼면 나중에 더 지저분하고 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모니터 받침대 설치는 사진에서처럼 스탠드 걸림 부분에 받침대를 걸고 손나사를 잠가줍니다.


위 걸쇠 모양에 받침대를 걸고.


손으로 나사를 돌려 잠가 줍니다.


받침대를 설치하고 나니 스크래치 보호필름이 뒤에 더 있네요.


전면 역시 여기저기 붙어 있는 스크래치 보호필름을 다 떼어낸다.


스크래치 보호필름을 다 떼내고 나니 더 광택이 나고 이뻐 보입니다.


보면서 쓰는 면은 아니지만 후면 디자인도 꽤나 심플합니다.


홈으로 파여 각인된 AOC 로고와 프린트된 알파스캔 로고 .


후면에도 에어 홀이 양쪽 두군데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후면 하단에는 차례로 DVI, HDMI, DP, D-SUB, 헤드폰 OUT 단자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후면의 모든 단자가 같은 라인으로 자리 잡고 있어 케이블 정리에 용이할 것 같습니다.


PC는 DP 포트에 연결하였습니다.


전원 케이블도 연결해 주었습니다.


흰색과 검정색으로 깔끔하고 심플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제 시스템과 전체적으로 이쁘게 조화를 잘 이루고 있습니다.  

제품 특징


퍼컬러기술과 QHD(2560 X 1440) 해상도

2560 X 1440 QHD 해상도와 슈퍼컬러기술로 자연색에 가까운 색상과 화질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선명한 색감 IPS 광시야각

위에서 보아도 변질없는 선명한 색상의 화면을 볼수있습니다.


좌측에서 보아도 역시 변질없이 선명한 색상의 화면입니다.


논글레어 타입이어서 반사되어 비치는 면이 거의 없다.

광시야각에 논글레어 타입이라서 어느 방향에서든 화면의 변질 없이 선명한 화면과 색상을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입력단자

외부 입력 단자로는 DVI, HDMI, DP, D-SUB 4가지 단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양한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splayPort

PC는 디스플레이 포트에 연결해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HDMI

PS4 Pro는 HDMI이 포트에 연결하여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을 두 가지 모니터에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비교 제품이 40" 1920 X 1080 FHD이다 보니 색감이나 해상도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게이밍 기능

알파스캔 AOC 3279 QHD에는 게이밍 기능이라는 색감 보정 기능이 있는데 6단계에 3가지 종류의 메모리 된 기능이 있습니다.

메모리 된 기능은 FPS, 레이싱, RTS, 이며 추가로 사용자 1~3까지 추가적으로 메모리 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배틀그라운드

적용 전, 후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군요.


크루 2

레이싱 모드 역시 눈으로 확 티가 납니다.


스타크래프트 2

각 모드마다 특색 있게 색감이나 명암의 변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모드가 마음에 안 드시면 직접 세팅하여 메모리 할 수 있습니다. 


AMD FreeSync

제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 AMD가 아니라 직접 테스트해서 보여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드립니다.

참고 하시라고 퍼 왔습니다.


AMD Simplified: AMD FreeSync™ Technology



시력보호기능

저희 집에 깜박이는 모니터가 없어서 테스트가 불가능 했습니다.

참고로 예시를 퍼 왔습니다.



OSD 설정
 
메뉴 버튼을 눌러 OSD 창을 열고 <,> 버튼으로 기능 탐색 후 원하는 기능에 위치하고 다시 메뉴를 눌러 활성하여 사용합니다.
설정이 끝나고 나올 때는 자동 버튼을 눌러 끝내면 됩니다.
모든 기능의 설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팅합니다.

휘도


색상 설정  


화면설정


OSD 설정


게임 설정


부가기능 


나가기 


소프트웨어

CD를 넣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차례로 드라이버, 스크린+, i 메뉴, e 세이버등 4가지의 설치 항목이 있습니다.


Screen+  

소프트웨어는 바탕화면 분할 도구로서, 바탕화면을 여러 개의 다른 패널로 분할하고 각 패널에서는 다른 창을 표시합니다. 

패널에 액세스하려는 경우 창을 해당 패널로 끌어 가기만 하면 됩니다. 

이로써 여러 모니터 디스플레이를 지원하여 작업이 수월해집니다. 


i-Menu  

모니터의 OSD 버튼 대신 화면 메뉴를 사용하여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e-Saver 

스마트 시스템 종료 기능이 있어 PC가 어떠한 상태에 켜짐, 꺼짐, 대기 또는 화면 보호기에 있든 모니터를 적절하게 끌 수 있습니다. 

실제 끄기 시간은 사용자의 기본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마무리

장점

적당한 크기의 32인치 형 광시야각 IPS 패널, 뒤떨어지지 않는 2560 X 1440의 QHD 해상도 거기에 75Hz의 주사율까지

멀티미디어와 PS4, XBOX 그리고 PC 용도로 완벽하진 않지만, 적당한 크기와 적당한 기능으로 세 가지 용도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메리트 있는 모니터입니다.

단점 

나사가 보이는 마무리, 높이 조정과 피벗, 회전이 안된다.   


모든 제품이 그렇듯이 아무리 잘 만들고 신경 써도 모든 사용자분들에게 완벽한 만족감을 주지는 못 합니다.

이 제품도 모든 소비자에게 완벽감을 주지는 못하겠지만 사용 용도에 맞게 가격부터 기능까지 다양성을 갖춘 쓸만한 모니터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알파스캔 AOC 3279 QHD 프리싱크 NTSC88 무결점 모니터의 필드테스트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 가는 그대로

관리자
글 보관함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마음이 가는 길로 가다 보면 먼 시간이 지나고서 미련이나 후회는 덜 하겠지...